|  |  |  | 
	|  |  
	|  |  
	|  |  
	| ▶ grep : 파일 중에서 어떠한 패턴을 검색한다. ① 사용방법
 # grep [-옵션] expression [file]
 ② 사용예제
 # grep 123 test.txt      <- test.txt 파일 내에 123이라는 문자가 있으면 출력한다.
 # grep -v 123 test.txt      <- test.txt 파일 내에 123이라는 문자가 없는 라인을 출력한다.
 # grep -r a.gif ./*      <- 현재 폴더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중 a.gif를 찾아 표시한다.
 ③ 옵션
 -A num : 패턴과 매치되는 문자열을 찾아서 그 라인 뒤에 있는 num 만큼의 라인을 보여준다.
 -B num : 패턴과 매치되는 문자열을 찾아서 그 라인 앞에 있는 num 만큼의 라인을 보여준다.
 -c : 매치되는 개수를 출력한다.
 -e expression : 표현이 하이픈 문자로 시작될 때 사용한다.
 -f : 파일로부터 패턴을 얻는다.
 -h : 매치되는 내용을 찾은 파일의 이름을 표시하지 않는다.
 -i :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.
 -l : 매치되는 내용이 있는 파일의 이름만을 표시한다.
 -n : 매치되는 라인과 그 라인수를 출력한다.
 -r : 하부 디렉터리까지 검사한다.
 -v : 매치되지 않는 라인을 출력한다.
 -w : 주어진 단어와 완전히 매치되는 라인을 출력한다.
 
 ▶ groupadd : 그룹 이용자를 추가한다.
 ① 사용방법
 # groupadd [-옵션] 그룹명
 ② 사용예제
 # groupadd test      <- test란 그룹이 생성되며 /etc/group 내에도 자동으로 추가된다.
 
 ▶ gzip : 파일 압축(확장자 .gz, .z 형태의 압축파일 생성)
 ① 사용방법
 # gzip [파일명] : 압축 시
 # gzip -d [파일명] : 해제 시
 ② 사용예제
 # gzip test      <- test란 파일을 압축한다.
 # gzip -d test.gz      <- test.gz란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다.
 
 ▶ halt : 바로 system을 종료시킨다.
 ① 사용방법
 # halt [-옵션]
 ② 사용예제
 # halt      <- 시스템이 halt되면 'System halted' 메시지가 나오고, 시스템은 정지한다. halt는 옵션을 가지지 않는다. 명령이 내려지면 일련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한
 후에 정지한다. 시스템 종료 기록도 /var/adm/wtmp 로그 파일에 추가된다.
 ③ 옵션
 -d : /var/log/wtmp 파일에 기록을 남기지 않는다.
 -f : 강제로 halt하거나 reboot한다. shutdown을 호출하지 않는다.
 
 ▶ head : 파일의 처음 n개의 내용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 ① 사용방법
 # head [-옵션] [파일]
 ② 사용예제
 # head -3 test.txt      <- test.txt 파일 내의 위 세 줄만 출력된다.
 ③ 옵션
 -c size : size 만큼의 바이트를 출력한다.
 -n line : 지정한 line 수만큼 출력한다.
 
 ▶ history : 지금까지 사용했던 명령어를 보여준다.
 ① 사용방법
 # history [숫자] [-옵션]
 ② 사용예제
 # history      <- 지금까지 사용했던 명령어들의 전체 목록을 보여준다.
 # history 3      <- 최근에 사용한 명령어 세 줄을 보여준다.
 ③ 옵션
 숫자 : 지정한 숫자만큼 최근에 사용했던 명령어를 출력한다.
 -w 파일 : 지정한 파일에 history의 내용을 저장한다.
 
 ▶ hostname : 현재 설정되어 있는 호스트의 이름을 표시하거나 변경한다.
 ① 사용방법
 # hostname [호스트명]
 ② 사용예제
 # hostname      <- 현재 서버에 설정된 호스트명을 보여준다.
 # hostname test.com      <- 현재 서버의 호스트를 test.com으로 변경한다.
 
 ▶ ifconfig : 네트워크 정보 표시
 ① 사용방법
 # ifconfig [네트워크명]
 ② 사용예제
 # ifconfig      <- 현재 서버에 인식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내용을 출력한다.
 # ifconfig -a      <-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내용을 출력한다.
 
 ▶ kill :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어
 ① 사용방법
 # kill [-옵션] process id
 # kill [-옵션] 시그널
 ② 사용예제
 # kill -9 123      <- 123이라는 프로세스 아이디를 강제로 종료한다.
 # kill -l      <- 시그널 종류를 나열한다.
 # kill -HUP 123      <- 123이라는 프로세스 아이디를 재시작한다.
 ③ 옵션
 -s 시그널 : 특별히 보낼 시그널을 지정한다.
 -l : 시그널로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이름들을 보여준다.
 
 ▶ killall : kill과 유사한 명령어로 kill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ID(PID)로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반면에 killall은 프로그램의 이름으로 종료시킨다.
 ① 사용방법
 # killall [-옵션] 프로그램 이름
 ② 사용예제
 # killall sendmail      <- 서버 내에 실행되고 있는 모든 sendmail 데몬을 종료한다.
 # killall -9 httpd      <- 서버 내에 실행되고 있는 모든 httpd 데몬을 강제로 종료한다.
 
 |  
	|  |  |  |